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보험 비과세 요건 및 혜택 받는 방법 BEST4

by %^%^**!1 2023. 6. 23.

똑같은 보험을 가입하더라도 보험기간을 어떻게 해서 가입하느냐에 따라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도 있고,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.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요건에 대해 알려드립니다. 비과세 혜택은 반드시 내야 할 이자소득의 15.4%의 세금을 내지 않고 모두 받는 것입니다.

 

보험 비과세 요건 및 혜택받기

 

보험비과세요건 및 혜택에 관한 썸네일
보험비과세요건


보험을 가입하면서 비과세 요건 및 혜택을 받는 방법은 총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보장성보험가입, 종신형연금보험, 월적립식 저축보험, 일시납보험가입입니다. 각 상품마다 요구되는 요건이 다릅니다. 상품마다 필요한 요건을 아래에서 상세히 정리해 드립니다.


보장성 및 순수보장형 보험상품 가입


생존 시에 지급되는 보험금이 없는 보장성보험에 가입할 경우 납입기간 5년 이상, 계약기간 10년 이상으로 가입하는 경우에는 비과세로 가입이 가능합니다. 비과세코드는 76번입니다.

다만 월 적립하는 보험료는 일정한 금액으로 납부해야 합니다. 월적립금이 바뀌면 비과세 적용을 받지 못합니다. 보장성 보험을 월적립식으로 가입하면 한도제한 없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
월적립식 저축보험 150만 원 이하 가입


월적립식으로 저축성보험에 가입할 때 납입기간은 5년 이상으로 하고, 보험 유지기간을 10년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 경우에도 납입하는 보험료는 동일해야 합니다. 비과세코드는 75번입니다.

저축성보험의 경우에는 월 납입 가능한 보험료는 150만 원까지입니다. 150만 원 적립하면서 납입기간 5년, 보험기간 10년으로 상품에 가입할 경우 비과세 혜택으로 이자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.


보험기간 10년 일시납 1억 원 이하 가입


보험 유지기간을 10년으로 가입하는 보험에 가입할 경우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정기예금처럼 큰 금액을 납부하는 일시납 상품의 경우인데요. 최대 1억 원까지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비과세코드는 75번입니다.

1억 원을 초과하면 비과세가 아닌 과세가 되기 때문에 반드시 1억 원으로 가입하면서 10년짜리로 가입해야 합니다. 10년으로 가입했는데 중도에 해지하게 된다면 당연히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.


종신형 연금보험 가입 금액제한 없음


종신형 연금보험의 경우에는 금액의 상관없이 가입만 하면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 계약자와 피보험자, 연금수익자를 동일하게 가입해야 합니다. 비과세 코드는 59번입니다. 또한 반드시 연금으로 수령해야 합니다.

종신현 연금보험이기 때문에 납입기간 만료 이후에 만 55세 이후부터 사망할 때까지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  종신 연금으로만 수령을 해야 비과세가 가능하며, 만약 상속형이나 확정형으로 수령하면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





지금까지 보험 가입 시 비과세를 받을 수 있는 요건 BEST 4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보험으로 비과세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위의 4가지입니다. 위의 4가지 각각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, 이자소득으로 인하여 금융소득종합과세가 되는 분들은 보험상품을 적절히 활용하여 종합소득과세가 되지 않도록 하면 좋습니다.

돌려받지 못한 휴면보험료 조회 바로가기

휴먼보험료 확인하기 위한 배너
휴면보험료 확인하기

 

댓글